수국과학 12편 - 2007 수능 대중매체 비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7388414
수국과학 서론
수국과학 0편 - https://orbi.kr/00024902587
수국과학 1편 - 17년 수능 보험지문 https://orbi.kr/00024908611
수국과학 2편 - 16년 9평 A형 소비자 정책 https://orbi.kr/00024918345
수국과학 3편 - 17년 9평 콘크리트 발전사 https://orbi.kr/00024926865
쉬는편 - 문제풀이의 가성비 https://orbi.kr/00024961979
수국과학 4편 - 16년 9월 A형 해시 함수와 보안 https://orbi.kr/00024974585
수국과학 5편 - 11년 수능 부활절 지키기 https://orbi.kr/00025028419
쉬는편 - 필자 친구썰 https://orbi.kr/00025107702
실전특집) 6편 - 19년 수능 질량문제 https://orbi.kr/00025167180
쉬는편 - 학생 쪽지썰 https://orbi.kr/00025178021
실전특집) 7편 - 17수능 반추동물 생존 https://orbi.kr/00025178360
실전특집) 8편 - 17년 9평 칼로릭 논쟁 https://orbi.kr/00025194849
실적특집) 9편 - 17년 수능 콰인과 포퍼 https://orbi.kr/00025229117
쉬는편 - 붕어빵과 수학 https://orbi.kr/00025267871
실전특집) 10편 - 18년 수능 디지털 부호화 https://orbi.kr/00025277899
고찰 - 왜 주제를 중심으로 읽어야할까? https://orbi.kr/00025295151
고찰 -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5947282
11편 - 2017 6평 음악의 아름다움 https://orbi.kr/00027301533
보통 예술지문이 좀 쉬운편에 속합니다. 오히려 자유롭고 다양한 분야이기에 수능에서 출제하려면 아주 명확하게 출제해야하기 때문이죠. 그런 면에서 문학도 오히려 비문학보다 대체로 쉽습니다. 수능 문학에서 우리에게 아주 고도의 미적 가치관이나 감상능력을 묻지 않기 때문이죠.
오늘 다룰 지문은 문제를 풀기 보다는, 지문을 읽으면서 주제 잘 찾는 연습을 좀 해보겠습니다. 여태 학생들은 잘 몰랐겠지만 은연중에 지문에서는 주제, 중요한 내용이 계속 반복되어 나옵니다. 그것만 잘 찾아서 읽으면 아무리 어렵고 비비 꼬아낸 지문이라도 남들보다 더 빠르게 문제에 접근할 수 있을 껍니다.
우선 첫문단을 읽고, 가장 중요해보이는 문장을 딱 하나만 골라보세요.
여태 자주 이야기해왔지만 막 '자유를 위한 힘찬 일격' 저런 작품명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여태 저는 지엽적인 개념 설명에 근거하여 지문을 읽거나 문제를 푼적이 없었습니다. 저런 것들은 단순히 예시 수준에 불과하고 항상 더 중요한건 따로 있었습니다.
찾으셨나요? 전 아래의 문장이 제일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그 저 전면적인 비난과 거부로는 대중 매체의 부정적 측면을 폭로하거나 비판하려는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어렵다
이 문장에는 제가 여태 여러가지 지문을 설명하면서 강조했던 요소들이 많이 섞여있습니다. 우선 '그러나'라는 말이 있죠. 보통 이런 접속 부사는 중요했었습니다. 그리고 '대중 매체의 부정적 측면'이라는 말도 합니다. 뭔가 누군가의 약점을 아주 신랄하게 비판했다는 내용이 나올거 같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맨 마지막에 이런 말을 합니다.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기 어렵다' 이런 말이 있다는 것만 하더라도 이 문장이 가장 중요한 문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뭔가를 비판하고자 하는데, 거기에 문제가 생겼답니다. 그러니까 앞으로 지문은 그 무언가를 성공적으로 비판하기 위한 시도나 아니면 실제 성공한 사례를 이야기해줄거 같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찾은 중요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문단도 읽어보면서, 비슷한 말이 어디서 나오는지 한번 봅시다. 뭔가 비슷한 느낌이나 내용이 있으면 밑줄을 그어가면서 잘 기억해 둡시다.
대중 매체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소위 ㉡ ‘근본주의 회화’에 서도 찾을 수 있다
그들은 자신들의 목 표를 극단으로 추구한 나머지 결국 회화에서 대상의 이미지를 제거해 버렸다
그 결과 회화는 대중 매체와 구별되는 자신을 찾았지만, 남은 것은 회화의 빈곤을 보여 주는 텅 빈 캔버스뿐이었다.
해당 문단을 읽어보니까 우리가 찾응 주제에 완벽히 부합되는 내용이죠? 대중 매체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고 하는데, 그거에만 집착하다보니 또 뭔가 문제가 생겼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음 문단의 첫 문장을 읽어보면 바로 우리가 기다리던 내용이 툭 하고 튀어나옵니다.
회화의 내용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대중 매체를 성공적으 로 비판한 경우는 없었을까?
‘팝 아트’는 대중문화의 산물들 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면서 그 속에서 대중 매체에 대한 비판 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뭔가 앞에선 한계와 문제가 있었는데, 그런 부작용을 극복하면서 성공적으로 대중 매체를 비판하는 이야기를 할 거 같습니다. 그러니까 우리의 집중력은 당연히 앞의 내용보다 이 뒤에 나오는 내용에 더 많이 발휘해야 합니다.
그러면서 쭉쭉 뭔가 작품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맨 마지막 부분에 다시 우리가 찾은 주제와 거의 동일한 말이 반복됩니다.
관람객들이 꽈광! 의 폭력적 인 내용과 명랑한 묘사 방법 간의 모순이 섬뜩한 것임을 알아 차릴 때 비로소 작가의 비판적인 의도가 성취되기 때문이다.
전 이 말이 이렇게 들립니다. '드디어 대중 매체를 성공적으로 비판할 수 있었다'
이렇듯 우리가 첫 문단에서 찾은 주제는 나머지 지문을 관통하며 계속 반복되고, 맨 마지막 문단에서 다시 한번 반복되었습니다. 이런 형식을 가진 지문들이 의외로 참 많은데, 지난번에 다루었던 콘크리트 발전사 지문의 경우에도 맨 마지막에 콘크리트 발전 과정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끝납니다. 콘크리트가 발전해서 더 다양한 건축물이 가능했다 라면서요.
주제를 찾았으니까 문제를 하나 풀어볼게요. 해당 지문의 39번 문제
각 기호들을 다시 거슬러 올라가보면, 우리가 중요하게 보았던 '비판적이다'라는 내용이 들어있는 기호가 d랑 e에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그러하듯이 여기서 답이 나올거 같다라고 느낌이 옵니다. 실제로 답은 5번이었습니다.
물론 전느 이 문제를 처음 풀때 이렇게 분류하진 않았었고, 보기를 보고 다시 기호 밑줄을 찾아가면서 일일이 확인과정을 거쳐서 해결하긴 했습니다. 정답률이 그렇게 낮은 문제도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문제 이야기 하나만 더 하죠. 우리가 찾은 지문의 주제가 '대중 매체에 대한 성공적인 비판' 이었죠? 이 말이 40번 문제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됩니다.
당연한 거겠지만 수능에서는 주제가 제일 중요하니까, 주제와 관련해서 문제도 만들어지고 정답도 만들어지는 겁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적극 방역으로 공중보건 강화” 코로나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하는 가운데, 정부가...
-
그리고인증좀
-
제목은 그냥 팩트고 지금부터가 내 주장인데 성적이 확 올라 대학라인을 많이 높인...
-
자랑 1
올퍼펙트 ㅎㅎ
-
저도 BMW X3 사고 싶어요 ㅜㅜ
-
님들 만약에 2
버스에서 토하면 어케됨뇨?
-
별표친곳에서 무지성으로 생각하고 저렇게 밀어서 풀었는데 답은 맞길래 맞게 푼건지요..
-
1. 허수들 유입하려는 화1 고인물 2. 생1/생2/화2러중 화1 2등급이상인데...
-
수험생에 "맘에 든다" 연락한 감독관...'무죄' 판결 이유는 6
대학수학능력시험장에서 감독관 업무를 하다가 수험생의 개인 정보를 알아내 "마음에...
-
서울대 도전할까 3
나이가 먹을수록 서울대 멋있어보인다 남자면 살면서 한번쯤은 서울대 가고싶지 아니한가
-
지금 3인거 같은데 양치기 하면 2가지 않을까?..
-
무료 특강 진행합니다...
-
미적100 질받 5
심심해서 질받함
-
어떤 걸 풀면 좋을까요? 일단 기출을 안 본지 좀 오래돼서 마더텅으로 복습 중인데...
-
아 심심해 1
뭐하지
-
덕코 필요한 사람? 23
조금씩 드립니다
-
님들도 롤 접으셈 얼른
-
예전에 과거시험을 보던 때에는 점수를 가장 잘 받은 답안지를 맨 위에 올려놓고...
-
남도 안될거라는 생각은 안했으면 좋겠네 ㅋㅋ 나도 중딩때 야구부 하다가 다치고 재능...
-
선착 n명 덕코 뿌림 21
사유는 내가 롤 안한다고 했다가 결국 함
-
현 옯붕이 위치 5
경기도 여주시 전남 여수시 아닙니다 ㅎㅎ
-
헐,,, 여자한테 처음으로 "이쁘게생겼다"는 말 들음,,,, 7
알바하다가 한 56~58정도 되보이는 손님계산할때 포인트적립같은거 잘 모르겠다고해서...
-
약간 페미들 주장 중 일부 인정할만한게 있다는 생각이 들었음 그게 뭐냐면 "의주빈"...
-
펑크가 안 난다다고 해도 26 정시 최상위권 문과가 전반적인 입결하락으로 가는 건...
-
내가 운영하는 거 중에 430명짜리 카페 있는데 나중에 천명 단위되면 이걸로 광고...
-
설자전생각보다 낮은듯 16
경제만점 72 사문47 67 수학 미적92 134 국어 89(현재) 129 설대식...
-
나존나못해서 자꾸채팅으로욕머금 그러면얘가와갖고 내가이겨줄테니까 얘한테 뭐라고 하지마...
-
창문 열어두고 8
극세사 이불 돌돌돌 말려서 누워잇으니 이보다 좋을수 잇으랴 으흐흐
-
vs 강의평점은평범하지만 우주공강은아님
-
담배피면진짜수명줄음? 13
조아하는애가개꼴초라게임한판핢대마다단배펴요 ㅠㅠ
-
계신가요 궁금한게잇어서..
-
무휴학반수 2
무휴학 반수할 예정입니다 1학기부터 한두과목만 좀 감유지용으로 시작할예정인데...
-
밑ㅌㅡ임, 뒷트임 하고 싶어짐
-
내후년 수능 (28수능)에 틀딱들 얼마나 몰릴지 궁금하네 5
나도 참전 ㄱ?
-
공부하기 남이 뭐라해도 어차피 안하면 안바뀌는데 일단 공부라도 해야지 일단 5이하...
-
하..
-
귀엽다고 해줘요 네?
-
할거존나없어서 10
이딴거보고있다
-
그해 국수만표 높으면 컷 높아지는 편이죠? 흠냐뇨잇!
-
고2때부터 그랬는데 일단 통통 유기하고 공통만 하는중 15랑 20부커 22가...
-
김승리 문학 안맞는거 같음 일단 꾸역꾸역 듣고 있는데 박광일 훈련도감 ㄱㅊ? 수학...
-
토스 돼지 0
님이 꽃돼지 밥주기를 요청했어요? 지금 3,125,130명이 토스에서 봄맞이...
-
안녕하세요!! 7
저는 공부하러 총총총..
-
추가모집 조선의->조선치 바꾼 사람이 있는데 말이되나요..? 6
https://m.dcinside.com/board/sdijn/1783729?head...
-
원과목의 장점은 2
컨텐츠가 많다는거임 물론 많은걸 푼다고 1등급이 나오진않음
-
기하나 확통런 치는게 좋을듯 미적 26 27때는 올해보다 더 난도대비 만표 손해 볼 수도 있을거같음
-
좀만돌아다녀봐도 우리나라 내수시장 멱살잡고 끌어올리는건 여자들임 남자들은 상대적으로...
-
내인생 정상화될때까지
-
흐흑
-
25수능 생1 노찍맞 만점 나름 자부심을 가지고 있던 과목이라서 그런지 조교떨했을때...
아주 좋아요. 100% 동의합니다.
물론 최근 들어 점점 글의 '대의'가 아니라, 글의 '중요 부분'에 대한 이해도 물어보고 있는 추세이긴 한데, (LEET에서 특히나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의 '중요 부분'에 대한 이해는 글의 '대의'와의 관련성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