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영 쌤의 다섯번째 칼럼: 창의성과 순응
게시글 주소: https://test.orbi.kr/00030944179
오늘 칼럼에서 다룰 주제는 창의성과 순응입니다.
creativity 와 conformity는 수능 단골출제 주제인데요 어떻게 이 두 개념이 대조를 이루는 지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21년도 수능특강 영어 10강 어휘 3번
The pressures toward (B) conformity / creativity are subtle but irresistible, for his position and his hopes for promotion are keyed to performance of duties, activities, and even attitudes which make the corporation successful.
위 문장은 EBS 수능특강 영어 책에서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어휘 선택란에 둘 중 하나를 고르라는 건 두 단어가 서로 대조어임을 의미하죠.
이제 창의성 관련 기출문제들을 보겠습니다.
18년도 9평 31번
One unspoken truth about creativity ― it isn’t about wild talent so much as it is about ____________. To find a few ideas that work, you need to try a lot that don’t. It’s a pure numbers game. Geniuses don’t necessarily have a higher success rate than other creators; they simply do more ― and they do a range of different things. They have more successes and more failures. That goes for teams and companies too. It’s impossible to generate a lot of good ideas without also generating a lot of bad ideas. The thing about creativity is that at the outset, you can’t tell which ideas will succeed and which will fail. So the only thing you can do is try to fail faster so that you can move onto the next idea.
* at the outset: 처음에
① sensitivity
② superiority
③ imagination
④ productivity
⑤ achievement
창의성의 다양한 요소들 중 생산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창의성을 지닌 천재들은 단순히 다른 사람들보다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이 실패하고 성공한다고 하네요.
17년도 수능 31번
The creativity that children possess needs to be cultivated throughout their development. Research suggests that overstructuring the child’s environment may actually limit creative and academic development. This is a central problem with much of science instruction. The exercises or activities are devised to eliminate different options and to focus on predetermined results. The answers are structured to fit the course assessments, and the wonder of science is lost along with cognitive intrigue. We define cognitive intrigue as the wonder that stimulates and intrinsically motivates an individual to voluntarily engage in an activity. The loss of cognitive intrigue may be initiated by the sole use of play items with predetermined conclusions and reinforced by rote instruction in school. This is exemplified by toys, games, and lessons that are a(n) ________ in and of themselves and require little of the individual other than to master the planned objective. [3점]
* rote: 기계적인 암기
① end ② input ③ puzzle ④ interest ⑤ alternative
(교육)환경에 대한 지나친 구조화가 아동의 창의성을 제한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결과가 정해져 있는 수업들로 인해 아동이 지적 호기심을 갖기 어려워 학문적 성장을 방해한다고 합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들은 전부 conformity와 관련된 표현입니다.
16년도 9평 32번
Investigators as a personality type place a high value on science, process, and learning. They excel at research, using logic and the information gained through their senses to conquer complex problems. Nothing thrills them more than a “big find.” Intellectual, introspective, and exceedingly detail-oriented, investigators are happiest when they’re using their brain power to pursue what they deem as a worthy outcome. The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nd they dislike overly structured environments that necessitate a set response to challenges. Investigators are not interested in leadership, and developing the interpersonal skills necessary to fuel collaboration is a hurdle for many of them. They may feel insecure in their ability to “keep up” in their fields and can react badly when forced to put more important work on hold to complete a task that doesn’t intrigue them. [3점]
* introspective: 자기 성찰적인** deem: 여기다, 생각하다
① attempt to go with the flow
② prefer to march to their own beat
③ dare to take the lead from the front
④ tend to work shoulder to shoulder
⑤ pay more attention to assigned tasks
연구자들은 그들의 지식을 활용하여 가치 있는 결과를 추구하고, 지나치게 구조화된 환경보다 스스로 개척해나가는 것을 좋아한다는 내용입니다. 정답선지인 prefer to march to their own beat 라는 표현을 통해 구조화된 학습이 창의성과 반대되는 개념이며 개척자정신이 창의성을 나타내는 표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외에
Creativity results from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a person and his or her environment or culture, and also depends on timing. 19년도 9평 21번
The highly respected physicist Enrico Fermi told his students that an experiment that successfully
proves a hypothesis is a measurement; one that doesn’t is a discovery. 19년 수능 21번
기존의 가설을 증명(순응)하는건 측정에 불과하다. 이를 반박하는 것이 발견(창의성)이다.
등등 창의성을 소재로 나온 많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생태계: 공존, 경쟁, 기생, 포식’ 을 주제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선착순 3명 2
1000덕
-
내 로망 0
대전이나 대구에 24평정도되는집 사서 폼피츠랑 살기 근데 난 못이룰거가타
-
뭔 거기다가 원래는 착했냐느니 뭐니 별 수식어를 붙여서 쉴드를 치더라 걍 ㅈ같은건...
-
https://orbi.kr/00068851681 이게 벌써 반 년 전이군요.....
-
벌싸 3시임;
-
모두들 마음의 평안을 찾으시갈 기원합니다
-
나보다 수학 1
500배 잘하는 08한테 재능충 소리 들엇음 기분 좋게 자러감
-
한양대 기계 정모들 좀 가보니까 사람들도 되게 좋고 재밌던데 다군에 성대 반도체...
-
어디서든 친목을 다지려는 게 본능임 안 그러면 죽었으니까 그런 욕구가 없는 게...
-
주간은 전날 저녁에 확정문자주는데 야간은 당일 3~4시간전에 확정문자주는거 너뮤 ㅈ같긴하네
-
해볼까
-
잡바구리먹고 좌파가될개
-
유일무이하게 되지 않을까 싶기도... 그 외에는 다 개형추론에 서브 조건으로 들어가서
-
우웅글 6
우웅 나 내가 생각해도 좀 커여운듯 ㅇ.
-
05만 들어와보셈 16
너네 뭐하고 살고 있음
-
나는 머리가 5
많음
-
손목 관절염 오면 어떻게 공부함? 일단 나는 보호대 좀 감다가 너무 불편해서 그냥...
-
감정배설임 구태여 반응안해줘도됨 ㅈㅅ
-
N수생들차렷.
-
결혼하고 싶어짐 휴
-
힘들겠지만 0
부모님이 다시 수능을 보는걸 모두 반대하시지만 소신껏 살아가겠어.. 하지만 조금만...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친목질하고 쉴드질하는거보면 뭔가뭔가랄까
-
지금 왜 이렇게 오르비나 벅벅 하고 앉았냐.... 역시 사람은 현재가 중요하다
-
헐 갑자기 4
맢42하고 싶다 예전에 꽤나 고렙이었는데… 많이 바뀌었겠지…..?
-
전글 메인에 올려줘 11
제발 지 스스로 까내리는 멍청한 짓 좀 하지 마 평소에 손에 관절염 올만큼 ㅈㄴ...
-
극한에 대해서 저렇게까지 극한으로 물어보는 문제는 이제는 더 안나올거 같긴함 애초에...
-
걍 국민연금 좀 아야하고 길거리에 노친네 많아진거 말건 별 차이 앖는거 같은데
-
야식추천 ㄱㄱ 7
배고픕니다.
-
이거 못들으면 2학기것도 밀리는데
-
현우진이 말하길 7
우리는 제법 똑똑하다 라는 생각을 갖고 공부에 임해라 실제로 그렇고 그렇지 않고가...
-
모 칼럼겸똥글러 오르비언께 감사를…
-
등록금 넣어도 상관없는건가 붙자마자 계좌있길래 넣었는데
-
사하라사막 입갤
-
멘탈이 안 좋은 것도 내 한계인 걸 알아서
-
나만 모름
-
내가 이 상승곡선으로 전과목 1.3이 안돼서 장학을 못받아야겠냐? 앙?
-
잔다 안 잔다 0
-
글 보고 아 얘는 좀 힘들 수도 있겠네 싶은 친구들 보임 물론 작성자도 탈출 못...
-
정육면체를 칠하는 경우의수를 구하는 확통 문제를 보고 흥미를 느껴서 정다면체를...
-
제가진짜11월더프성적은인설의안정권이였는데엌저구저쩌구 9
수능때만망해서정말수능은운빨좃망겜실수유발어쩌구저쩌구서바20회만점이였는데표점150이라도받...
-
인사울 의대?
-
알바누나고마워
-
우웅
-
이태원 돈스파이크 바베큐 여기 맛있더라
-
시대 재종 의자 0
부엉이 라이브러리 의자 높이 괜찮나요?? 단과는 책상이 너무 낮아서 불편했는데...
-
훗
-
ㅇㅇ?
-
글 쓰는 거 보면 17
대충 그 사람의 포텐셜이 보인다 생각
-
ㅂㅂ
이보영의 토킹클럽인가 거기의 이보영선생님은 아니죠?
어렸을때의 기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