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 현대덕윤리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test.orbi.kr/0004750894
현대 덕윤리에서
"인간의 자연적 감정과 동기를 중시함 >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임" 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게 무슨 뜻인가요?
인간의 자연적 감정과 동기를 중시한게 왜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는 거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미적분에서 엄밀하게 증명 안하는 부분은 그냥 넘어가야됨? 예를들어 음함수 미분에서...
-
투과목 1
올해 수능을 다시 보려는데 투과목을 하는 게 나을까요? 원래는 변수 만들기 싫어서...
-
점공 초기에는 컷이 391이 나온다고 시끌시끌했는데 아직도 표본이 안들어왔나요?...
-
서울대 조발 0
설대 산림과학부 401.7인데 내신 cc2차 합격 ㄱㄴ??제발 ㅜㅠ
-
농어촌도 그러려나요? 걔는 별개인가
-
2시간25분만 참자
-
시간표 알아보고 있는데 생의학물리학 들을려면 물리1 공부해야하나요 지금 화1생1 하기도 바쁜데…
-
진짜 모르겠는데 ㅋㅋㅋㅋ
-
간호 인문 언매 1
정시로 인서울 간호 인문 가고싶은데 확통 사탐2인데 언매 해야할까요? ㅠㅠ
-
1. 임정환 림잇 -> 윤성훈 도표 2. 임정환으로 쭉 3. 윤성훈으로 쭉...
-
뱃지 언제 줘 0
-
단국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단국대25][천안캠퍼스 기숙사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단국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단국대학생,...
-
중증외상센터, 슬의생 시청 실시.
-
하.. 버겁다 진짜
-
기대된다 신규쌤 오신다는데 뭔가 궁금하기도 하고 재종은 어떤 모습일지 긍정적인...
-
100명 뽑는데 177번임 ㄱㄴ?
-
https://orbi.kr/00071809135 이거 관련해서 무슨 기능을 먼저 넣을지 설문점ㅎㅎ
-
건대 경제 0
빠지실분 있나요? 건대 건국대 경제
-
첨엔 막막해도 이게 그 벽을 넘는 경험을 하면 짜릿함 그래서 다른걸 해도 잘 할 수...
-
연대 한마음 0
아직 안나왔나요? 제가 기다리는건 아니고...
-
아무리 페이가박살나도 의사는 의사겠지..?
-
논술충인데 2
수학 2에서 낮1 이었음 두달정도 손 놔서 좀 더 죽었을듯 연논 약논 한양논...
-
원래는 어지간하면 현역으로 대학 가라는 말을 많이 했는데, 요새는 생각이 좀 바뀜....
-
조발 일정 2
여러분 서울대 조기발표 안한 해가 있었나요?
-
지이이인짜 솔직하게 어느정도 간다고 생각?
-
하..
-
서울대 몇시일까 4
-
들어갔는데 발표 대상자 아니라 해서 진학어플라이 갔는데 졸업증명서 미제출이네 이거 뭐냐....
-
오늘 쉰 김에 2
걍 매월 첫째주, 셋째주 목요일은 쉬어야지
-
일단 같은 포지션인 곡들끼리 묶으면 연세여 사랑한다 - 민족의 아리아 하늘 끝까지...
-
ㅈㄱㄴ
-
수능의 결의 15
더이상 미련은 없다....올해 수능 치게 되면 조용히 11월 성적표만 올릴듯
-
"학교 휴대폰 금지, 성적·정신건강·수면 증진에 효과 없어" 1
英 버밍엄대 연구 결과…정책으로 금지해도 사용시간 총량 변화 없어 학교 내 금지가...
-
저는 재수를 고민 중인 06년생입니 수능을 한 번 더 본다는 게 많이 무섭고...
-
39점 8 찍맞 9 이거왜맞음 10 풀고틀 11 찍맞 13 풀고틀림 14 풀고틀림...
-
안녕하세요 수시러였던 학생입니다 2.2로 숭실대 자전에 교과로 합격했는데요 (내신...
-
오늘 좀 잘 만든 듯
-
스케일링햇음 5
치과싫어….
-
내일 숭실대 발표 몇시예용?
-
尹 "주사파는 진보도 좌파도 아냐… 반국가 세력과 협치 불가능"[종합] 1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국민의힘 원외당협위원장들을 만난 자리에서 "북한을 따르는...
-
대학교의 정시: 공무원 시험/ cpa/ 메디컬고시(반수) / cta ->학점 박아도...
-
숭실대 조발 1
할까요……..
-
서점이다 서점 1
경제수특 일로와잇
-
남자는 머리빨 4
친구 머리 덥수룩에서 단발 사이 정도의 길이 되니까 갑자기 잘생겨보임
-
강대2야(스투)-국수영만 들음 가격 쌈 라인업정해짐(들어본 쌤은 고광수이승열은종찬...
-
굿
종래의 사변적인 윤리학에 비해 보시다시피 현대 덕윤리 쪽이 좀 더 자연스럽죠. 정언 명령이랑, 평상시 착하게 살기, 이 두 가지의 선택지 중에서 더 쉬운 것, 인간에게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것은 착하게 살기 쪽입니다. 그렇기 떄문에, 현대 덕윤리가 주장한 것들이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조!
걍 "칸트 같은 친구들보다, 현대 덕 윤리가 쉬움 -> 쉬우면 더 따라하겠징? ->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임"입니다.
전 대충 이렇게 기억하고 있는데, 이해 안 하시고 외워도 될 검니다...
위에서 시발점님이 예시를 드셨듯이 칸트는 보통 현대 윤리학자들한테 '도덕법칙 따르는거 다 좋긴 한데,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함??' 이런 비판을 제일 많이 받죠. 법칙을 철저히 따르는게 이상적이긴 한데, 그렇다고 문제가 다 해결되는게 아니니까요. 두 개의 정언명령이 충돌하거나 하는 상황 등이 벌어지면 칸트 같은 의무론자들의 해법은 쓸모가 없어지고, 그러다 보니 윤리적인 실천이 잘 안될때가 많은거죠.
덕 윤리는 도덕법칙이나 행동 그 자체에 대한 도덕판단 보다는 개인의 성품을 키우는게 더 중요하다고 보는데, 시발점님이 잘 표현해주셨듯 법을 지키는 것보다 그냥 착하게 사는게 더 자연스럽고 쉽기 때문에 윤리적 실천 빈도가 높아지는 거겠죠?ㅎ
다들 잘 말씀해주셨네요. 조금 더 붙여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현대의 덕 윤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그 뿌리로 두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계시지요?
도덕적 덕을 가지기 위해서는 '습관'을 그 방법으로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덕적 덕을 가지게 된 인간은
'중용'의 덕을 발휘하며 살아갈 수 있답니다.
예를 들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용감하게 행동하는 사람은 용감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
요한 것은 '용감하게 살아야 한다.'라는 칸트식의 당위가 아니라 인간 존재 자체가 얼마나 '용기'라는
덕성을 함양하고 있느냐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