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엽] 학생부종합전형 합격하는 자소서 쓰기 [1]
게시글 주소: https://test.orbi.kr/0006137674
누구에게나 자신만의 이야기가 있다.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그리고 진로에 대한 고민을 담아 전달한다면,
그것이 바로 합격하는 자소서가 된다.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보자.
안녕하세요,
<누구나 자소서를 쓸 수 있지만 합격하는 자소서는 아무나 쓸 수 없다>의 저자
자기소개서 전문멘토 정성엽입니다. ^^
이제는 학생부종합전형(전 입학사정관제)을 무시하지
못할 실정입니다.
많은 대학에 수시모집에서 인재를 뽑고 있으며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해 대학을
진학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기소개서(이하 자소서) 준비를 마음을 먹고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많을 겁니다.
잘 써야 한다는 부담감도 클 것이며,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할지 감을 잡기도
어려울 겁니다.
그러나 고민에만 빠져 있기엔 여러분에게 주어진 시간은 너무나 짧습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고민이나
그 고민을 빠르게 해결하지 못하고 지지부진한다면
철저한 준비로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과는 달리 합격의 문턱을 넘기
어려울지도 모릅니다.
그렇기에 여러분들은 ‘합격의 원리’를 알고 철저히 준비를 해야 합니다.
자소서 자체가 대학을 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이런 이유로 학생들은 ‘자소서’라는 글에 특수성을
부여하고
처음부터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지며
글쓰기에 재능이 없어 합격을 못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100% 잘못되었습니다.
만약 이런 생각이 옳다면, 글을 논리적으로 잘 쓰는 학생 혹은 수려하게
풀어내는 학생들이 불합격의 고배를 마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화려한 경력과 수많은 스펙을 가진 학생도 떨어지는 경우가
학생부종합전형에선 존재합니다.
즉, 화려한 글쓰기 스킬, 경력과 스펙 그 자체가
‘합격’을 이끌 수는 없다는 뜻이며
정말로 중요한 ‘합격의 원리’는 따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 합격의 원리를 3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면,
[1] ‘자신에 대한 명확한 이해’
[2] ‘자소서 문항별 핵심 파악’
[3] ‘진정성 있는 자소서 작성의 기술’
입니다.
합격하는 사람들은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자신만의 이야기를 갖고 있습니다.
합격자와 불합격자가 자소서에 작성한 이야기의 내용은 유사할 수 있겠지만,
자신이 살아온 과정과 목표하는 진로, 인생의 방향성에 정도와
그 구체적인 결과물을 엮어나가는 과정에서는 아주 큰 차이가 존재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자신만의 이야기로 글을 어떻게 풀어나가느냐가 중요한 것이지
특이한 경험을 가진 특별한 사람,
화려한 경력과 수많은 스펙을 가진 사람들이 쓰는
글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고민과 사색, 성찰을 하며
고교 생활을 충실히 보내온 학생이라면
‘누구나’
쓸 수 있는 것이 자기소개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들은 충분히 ‘희망’을 가질
여지가 있습니다.
저 또한 치열한 경쟁을 뚫고 학생부종합전형을 통해 대학에 합격했습니다.
그랬기에 자소서를 준비하려고 마음먹은 학생들이
얼마나 막막하고 답답한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막막함과 답답함 속에서
합격하는 자소서를 쓰는 원리를 터득하고 철저히 준비한다면
합격의 문턱을 밟는 것은 결코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길을 걸어온 선배이자
입시와 자소서 분야에 대해 더 많은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는 사람으로서
자소서와 학생부종합전형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친구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음과 같은 주제로 매주 2~3회씩 총 9회에 걸쳐서 자기소개서 작성
노하우를 컬럼으로 전하려고
합니다.
● 성공적 자소서 작성을 위한 준비법
● 자소서 문항의 핵심 파악하기
● 자소서 작성의 핵심 요령 파악하기
● 합격을 위한 ‘마무리’ 작업하기
“합격의 당락을 좌우하는 가장 큰 핵심은 철저한 준비다.”
이 말을 꼭 명심하시고 자기소개서 준비를 하시길 바랍니다!
지면의 한계로 인해 저의 신간
<누구나 자소서를 쓸 수 있지만 합격하는 자소서는 아무나 쓸 수 없다>
의 핵심내용만 간추려 제공되며, 더 자세한
내용은 책(온라인 서점 및 교보문고 판매중)을 통해 만나실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70921 220628 241120 이런 식으로 던지면 다 이해함?
-
당시 기준 국어 적당히 난이도 있게 잘 냄 수(가) 준킬러 강화의 시발점 고인물기준...
-
1. 변증법은 정립 - 반정립 - 종합의 구조 2. 예술 - 종교 - 철학도 이를...
-
이젠 정착해야겠지...
-
24수능 백분위 80 (뭐틀렸는지 기억 안나지만 11-15에서 몇개 틀리고...
-
그야내가잘푸니까
-
2506에서 예방주사를 쎄게 맞아서 그런가 별로 말이 안나옴
-
올해 됐는지 안됐는지 궁금하네요
-
재수할 예정입니다. 양지 메가 기숙 블루, 대치시대인재+학사, 시대인재기숙 중에서...
-
어릴 때 책 한 번도 안읽었고 독해머리 진짜 없다고 생각하는 편인데 진짜 대가리...
-
대깨설인데 메쟈의가 가고싶으면...
-
국어 어떤 시험이든 80점대진동 수학 어떤 시험이든 84-88진동
-
1년 다니고 군대 vs 대학만 붙어놓고 바로 군휴학하고 군대 뭐가 정배임?
-
영원토록 그딴 거는 없대도~
-
은근 많음 그런사람들이 불국어나오면 최대 수혜자임
-
물론 풀면서는 이게 이렇게 쉽다고…. ㅈ도ㅑㅆ다… 9모급인데….. 싶다가 컷...
-
ㅜ
-
국어 조금만 힘 빼고 수학 준킬러 쎈 메타로 바꾼거 진짜 좋은 것 같은데 수학은...
-
597.2인데 ㅠㅠ 생존가능할까요?
-
정석민쌤 해설을 본 적이 없기 때문임 리트 해설중에는 석민쌤 해설 들어도...
-
제앞에3명만극락으로보내버리면 저도동국대생이에요!
-
학교 라인은 같은데 과때무네ㅜㅜ 하나는 인하대 자연과학계열이고 하나는 아주대 e비즈...
-
레어를 삿는데 3
왜 구매내역에 업져ㅠ 어케사는건데여ㅠ
-
불국어 원하는 애들은 얼마나 잘하는거임 부럽구만
-
가 24명모집-예비6 나 27명모집-예비26 다 28명모집-예비18 인데 3광탈은 안되겠죠?
-
그때 국어 3개 수학 2개 물화 합쳐서 1개 틀리고 개잘본줄알았는데 등급컷보니까...
-
노베 중하위권도 시대인재 기숙 들어갈 수 있을까요? 1
지방대 공대 다니다가 군대 제대 후 자퇴해서 노베에다가 최근 5개년 평가원 수능...
-
17,18 얘네가 은근 정직함 지문 스케일은 길고 복잡하게보여도 선지가 착했음 근데...
-
그런거 모르겠다 잘하는 놈은 계속 잘하는 것 같다 과탐빼고
-
23수능 화작 24수능 언매 25수능 화작
-
저만 보기 아까워서 공유함
-
수스퍼거들 부활 가능할텐데
-
국잘수못이었어서
-
어떡하지 0
전에는 안그랫는데 이제는 마라탕 없이는 못살겟어요 분명 이틀전에 먹엇는데 또...
-
수능 99인데 아직도 이해가 안됨 그냥 문제가 좀 약간 이상한데… 물론 내가 이상할...
-
객관식 4점은 내 입장에서 표점 올려주는 억제기인데 힘이 너무 없어짐 24수능만봐도...
-
231115처럼 내는게 좋지않을까..
-
ㅠㅠ
-
아마 난 1교시 끝나고 시험장을 나가지 않았을까함 ㅋㅋ
-
수학적 사고력, 계산 벅벅 밀고 나가기, 스킬 적용 연습 다 할 수 있으면서 심지어...
-
25 제외하고 통합수능 하나 선택해서 보라고 한다면 난 23으로 하고 싶을듯..
-
수능엔 하염없이 진심인 새끼들....
-
실수만 유발해서 억지로 난이도 올리는 씹 적폐유형 241122처럼 내면 손 놓고...
-
분위기 좋네 이게 오르비지 서로 수능의 변화에 대해 생각도 나누고
-
고양이 4
프사
-
미적 사탐인데 인원 줄인다는 얘기가 있는데 진짜인가요?
-
개인적으로 수능 난이도 10
국어는 뭔가 22처럼 내주면 좋을거같고 수학은 제발 25수능처럼만.. 탐구는 이제...
-
국어 기출 중 개인적으로 아직까지 이해 못하겠는 문제 9
241106(3점)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